세계의 배심제도

닐 비드마르 지음 김상준 김형두 이동근 이효진 옮김

판매가(적립금) 재판준비중
분류 나남신서 1187
판형 신국판
면수 688
발행일 2007-06-01
ISBN 978-89-300-8187-0
수량
총 도서 금액     재판준비중
해 제
듀크대 로스쿨 교수 닐 비드마르가 엮은《세계의 배심제도》는 일반시민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중요한 형사사건의 재판에 관여하는 제도를 둔 50여 개 나라의 배심제를 비교조사한 결과를 매우 훌륭하게 소개한다.
이 책의 첫 장은 영국에서의 배심제도 발전 역사를 다루면서, 그 이후의 장에서 다루는 현대 배심제도의 분석을 위한 기본틀을 제공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주로 영국법제에 뿌리를 둔 나머지 수십 개 나라들의 사법제도에서 여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행 배심제도를 다루었다. 특히 각 장은 나라별로 가장 최고의 전문가들이 집필하여 나라마다 각기 다르게 운용되는 제도의 중핵적 부분을 잘 서술해 주고 있다.
이 책은 학생과 학자들에게 배심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통찰을 제공한다. 각 장은 논쟁적 이슈인 언론의 자유 vs. 공정한 재판, 재판 전 언론보도와 그에 따른 편견, 무이유부 기피권, 만장일치제, 복잡한 증거를 접하는 배심원의 능력 등 배심제도에 관한 많은 다른 이슈에 대해 법률적, 절차적, 정치적 맥락에서 검토함으로써 각 나라의 입장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출판사 서평
민주주의의 이상은 시민들이 법의 적용대상인 동시에 법의 주체라는 것에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 이상은 법을 제정하는 의회에서만 실현되었지, 법을 적용하는 재판과정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다. 법원은 그들만의 무대였고, 시민들은 고작해야 피의자이거나 증인 또는 방청객일 뿐이었다. 법적용의 대상이지 법적용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다. 이제 배심제도의 시행으로 우리나라 사법 민주화와 재판제도의 민주적 정당화도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배심제도는 민주주의 정신의 상징이지만 전문화된 복잡한 사회에서 판결의 합리성을 해치는 요인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배심제도는 공동체의 가치를 재판에 반영하는 통로이기도 하지만, 편견과 불합리의 통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 외 배심제도를 둘러싼 숱한 쟁점들이 있다. 아무런 경험도 없는 우리로서는 불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만큼 다른 나라에서의 역사와 경험이야말로 눈을 씻고 정독하고 귀기울여 경청해야 할 것들이다.

《세계의 배심제도》, 50여개 나라 배심제를 비교 분석하다
듀크대 로스쿨 교수 닐 비드마르가 엮은《세계의 배심제도》는 배심원단이 중요한 형사사건의 재판에 관여하는 50여 개 나라의 배심제를 비교분석한 뛰어난 저작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들 나라가 자국의 특정한 법률제도와 문화에 맞추어 배심제도를 어떻게 탄력적으로 운영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제1장에서는 배심제도를 둘러싸고 제기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역사적 논쟁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어서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미국의 형사배심재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또한 현재 남아 있는 민사배심재판에 대해서도 다룬다. 그리고 스페인과 러시아에서 새로 부활한 형사배심재판과 배심제를 도입했던 경험이 있는 일본의 배심제 부활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눈에 띈다.
각 장은 논쟁적 이슈인 언론의 자유 vs. 공정한 재판, 재판 전 언론보도와 그에 따른 편견, 무이유부 기피권, 만장일치제, 복잡한 증거를 접하는 배심원의 능력 등 배심제도에 관한 많은 이슈에 대해 법률적, 절차적, 정치적 맥락에서 검토함으로써 각 나라의 입장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은 나라별로 최고의 전문가들이 집필하여 나라마다 각기 다르게 운용되는 제도의 핵심을 잘 서술해 주고 있다.
이 책은 학생과 학자들에게 배심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통찰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법제도에 관한 정책입안가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실제로 재판을 진행하는 판사들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의 번역진이 모두 현직 판사라는 특기할 사항도 바로 이런 의의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형 배심제’가 정착되어 우리의 사법개혁과 민주주의를 심화시키는 데 이 책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저자 한국어판 서문 / 5
?저자서문 / 9
?옮긴이 감사의 글 / 13

제1장  역사적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영미법국가의 배심제도
닐 비드마르 Neil Vidmar
1. 머리말  23
2. 민주주의 이념과 현실, 그리고 배심제도의 기능  33
3. 당사자주의 사법절차와 배심제도  43
4. 배심원단의 구성, 배심원에 대한 기피권, 그리고 법정모욕:
   역사적 고찰  52
5. 현대의 배심제도: 배심원단의 구성, 배심원의 적격과 공정성에
   관한 비교법적 쟁점  65
6. 배심원에 대한 사법상 통제  84
7. 배심제도의 차이점과 관계 있는 그 밖의 요소들  90
8. 부분적 모습이지만 중요한 시작  99
 
 
제2장  영국 배심제도의 계속되는 쇠퇴
샐리 로이드-보스톡 Sally Lloyd-Bostock · 셰릴 토마스 Cheryl Thomas
1. 머리말  101
2. 영국 배심제도의 발전  103
3. 영국 배심제도의 법적, 정치적 배경  108
4. 배심재판의 범위  112
5. 배심원의 선발  126
6. 배심원에 대한 기피권  132
7. 검찰의 대기요청권 및 배심원 심사  138
8. 배심원으로서의 경험  140
9. 배심원과 재판 전의 언론보도  142
10. 배심원이 접하는 증거와 배심원에 대한 설명  146
11. 판사의 영향력  151
12. 평결  155
13. 의문의 여지가 있는 평결과 배심원의 실정법 초월적 판단
     (Jury Nullification)  157
14. 결론  161

제3장  미국의 형사배심제도
낸시 진 킹 Nancy Jean King
1. 머리말  165
2. 신생국의 형사배심제도  166
3. 연방과 주의 배심제도에 관한 법률의 패치워크  169
4. 수정헌법 제6조에 따른 배심재판 받을 권리와
   각주에서의 변형  172
5. 배심원에 의한 실정법 초월적 판단  182
6. 배심원단의 구성  189
7. 형사배심재판에 대한 경험적 단상  200
8. 언론보도와 배심제도  205
9. 사형배심: 미국의 사형제도  208
10. 결론  213

제4장  호주의 형사배심제도: 유배지에서 연방민주국가까지
마이클 체스터맨 Michael Chesterman
1. 머리말: 호주 형사배심제도 역사  215
2. 형사사건에서 배심제도의 활용  222
3. 배심원 선발  230
4. 만장일치에 의한 평결의 문제점  255
5. 판사와 배심원 사이의 권한 분배  258
6. 배심원 평결에 대한 항소심 심사  264
7. 간섭으로부터의 보호  269
8. 결론  273

제5장  뉴질랜드의 배심제도: 개혁을 향하여
닐 캐머론 Neil Cameron · 수잔 포터 Susan Potter · 워렌 영 Warren Young
1. 머리말  275
2. 뉴질랜드 배심재판의 역사  277
3. 배심재판의 이용가능성  291
4. 형사재판에서의 배심원 선발  302
5. 배심원의 비밀보장과 평결에 대한 조사금지  320
6. 배심재판절차  323
7. 재판 전 언론보도와 편견  330
8. 결론  334

제6장  캐나다의 형사배심제도: 절충형의 모색
닐 비드마르 Neil Vidmar
1. 머리말  337
2. 캐나다 형사배심제도의 개관  346
3. 재판 전 편견과 절차적 구제수단  362
4. 다른 재판절차에 대한 통제  379
5. 원주민들과 배심제도  387
6. 결론  392
 
제7장  스코틀랜드의 형사배심제도: 아주 독특한 제도
피터 더프 Peter Duff
1. 머리말  393
2. 기원 및 배경  395
3. 배심재판의 출현  397
4. 결론  440

제8장  아일랜드의 현행 배심제도: 혼란스러운 과거의 투영
존 잭슨 John D. Jackson · 케이트 퀸 Kaite Quinn · 톰 오말리 Tom O’Malley
1. 머리말  441
2. 아일랜드에서의 배심재판의 기원과 발전  444
3. 헌법적 차원: 헌법상의 권리로서의 배심재판  449
4. 북아일랜드의 배심재판과 ‘분쟁’  467
5. 결론  485

제9장  유럽의 새로운 배심제도: 스페인과 러시아의 사례
스티븐 타만 Stephen C. Thaman
1. 머리말  491
2. 간략한 역사적 배경  498
3. 배심법원의 관할  501
4. 배심법원의 구성  503
5. 배심재판에서 예비조사 및 예비심문  505
6. 재판  510
7. 결론  534

제10장  일본 형사배심의 부활
레스터 키스 Lester W. Kiss
1. 머리말  541
2. 왜 배심제도에 관한 논쟁인가?  544
3. 일본의 배심제도(1928~1943)  550
4. 배심제도의 형태  556
5. 문화적, 사회적, 법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본에서 배심제가
   성공할 수 있을까?  561
6. 결론  577
 
제11장  미국의 민사배심제도
스테판 랜즈맨 Stephan Landsman
1. 머리말: 텍사스 방식  579
2. 왜 미국 민사배심은 그렇게 많은 권한을 가지는가  584
3. 오늘날 민사소송에서의 배심의 이용  587
4. 배심원단의 규모의 문제  589
5. 민사사건에서 배심원의 선발
   ―예비심문절차, 무이유부 기피권 그리고 배심자문가의 조언  592
6. 민사사건의 심리  598
7. 소송의 마지막 단계에서의 배심원에 대한 지시  606
8. 평결의 형식과 특수평결  610
9. 만장일치에 의한 평결을 요구할 것인가  612
10. 평결에 대한 사후심사절차  615
11. 결론  617

제12장  민권의 수호자, 중세의 유물: 캐나다의 민사배심제도
윌리엄 보가트 W.A. Bogart
1. 머리말  619
2. 캐나다에서의 민사배심제도 이용가능성  621
3. 실증적 증거: 온타리오 주에서의 민사배심제도의 이용과
   그 비용  631
4. 민사배심제도에 대한 찬반  635
5. 결론: 찬반론에 대한 평가  641

제13장  그 외 국가의 배심제도
닐 비드마르 Neil Vidmar
1. 머리말  645
2. 영국식 배심제도의 확장: 역사적 전개  648
3. 유럽 및 남미지역의 ‘영국식’ 배심제도: 역사적 개관  657
4. 21세기 초의 배심제도  663
5. 결론  684

?역자약력 / 687

 

 

 

저자약력
닐 비드마르(Neil Vidmar): 듀크대 로스쿨 교수
 
역자약력
김상준: 서울대 법대 및 동대학원 졸업, 사업연수원 15기, 현재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
김형두: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연수원 19기, 현재 대법원 재판연구관(부장판사)
이동근: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연수원 22기, 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이효진: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연수원 31기, 현재 대구지방법원 판사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