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발전연구

정진성, 이병천 外 지음

판매가(적립금) 20,000 (1,000원)
분류 나남신서 953
판형 신국판
면수 458
발행일 2003-03-21
ISBN 89-300-3953-7
수량
총 도서 금액     20,000
21세기 우리 사회가 맞고 있는 가장 큰 과제는 세계화와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평화적인 민족통일의 실현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오늘날 한국사회의 과제와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진지한 분석과 전망들을 제시하는《한국사회발전연구》가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어떻게 우리 내부의 적폐를 청산하고 새롭게 맞고 있는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지, 때로는 상충될 수밖에 없는 사회발전의 가치들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여러 사례들을 통해 쉽게 풀어내고 있다.
20세기 전반기에 한국사회는 식민지로의 전락과 민족분단을 겪었고, 후반기에 한국인들은 이를 치유하면서 절대 빈곤을 극복하고, 민주화를 달성하기 위한 시련과 투쟁의 나날을 보냈다. 이제 한국사회는 비록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희구해온 사회발전의 핵심가치들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경제성장에 이어 민주화를 성취해 냈으며, 더 많은 다른 가치들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여유도 다소나마 갖게 되었다. 그러나 기왕의 과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며, 사회발전의 과제는 끊임없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한국사회발전연구》에 실린 글들은 현대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이러한 복합적인 사회발전의 과제들에 대한 모색과 응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제1부는 “개발국가론 딛고 넘어서기”, “문화발전주의의 논리적 문제점과 유교 자본주의”, “연고조직과 자원조직의 생태학”, “한국에서 법과 발전 논의의 전개”, “여성의 생물학적 대표성과 정치적 대표성”, “과학사회학의 발전과 그 특징” 등 한국의 사회발전에 대한 이론적 주장들을 검토하거나 사회발전의 몇몇 이론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를 담고 있다.
제2부에서는 “1980년대 말 한국 사회운동 지형의 변화”, “늦봄 문익환 목사의 통일사적 의의”, “사회변동과 세대문제”, “현대 한국의 사회문제와 개혁과제”, “노동유연성과 비정규직 고용” 등 현대 한국사회의 변동을 배경으로 오늘의 한국사회가 겪고 있는 몇 가지 사회문제들을 검토한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세계화와 사회발전”, “경제위기와 한국사회의 발전과제”,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한국 페미니즘과 고학력 여성의 노동권”, “인권규범의 전지구화와 외국인력 정책”, “인권규범의 국제화” 등 오늘의 한국사회를 감싸고 있는 세계화의 영향 속에서 한국사회가 겪고 있고 또 풀어나가야 할 발전의 과제들을 여러 각도에서 진단해 본다.
이 책에 실린 글들 간에는 발전의 개념과 가치에 대한 생각이 서로 다르고, 씨름하는 과제의 논점과 범위에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글들은 오늘의 시점에서 한국사회의 과거로부터 이월된 미완의 과제와 새롭게 직면하는 과제들에 대한 학문적 진단과 반성, 그리고 문제해결을 모색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오늘의 시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과제와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진지한 분석과 전망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제1부 사회발전의 이론적 모색
제1장 개발국가론 딛고 넘어서기 : 역사와 평가 / 이병천
제2장 문화발전주의의 논리적 문제점과 유교 자본주의 / 이재혁
제3장 연고(緣故)조직과 자원(自願)조직의 생태학 / 한준
제4장 한국에서 '법과 발전' 논의의 전개 / 이철우
제5장 여성의 생물학적 대표성과 정치적 대표성 / 이정옥
제6장 과학사회학의 발전과 그 특징 / 서이종

제2부 사회변동과 사회문제
제7장 1980년대 말 한국 사회운동 지형의 변화 / 정진상
제8장 늦봄 문익환 목사의 통일사적 의의 / 강정구
제9장 사회변동과 세대문제 / 박재흥
제10장 현대 한국의 사회문제와 개혁과제 : 가족을 중심으로 / 이병혁
제11장 노동유연성과 비정규직 고용 / 이성균

제3부 세계화와 사회발전의 과제
제12장 세계화와 사회발전 / 박길성
제13장 경제위기와 한국사회의 발전과제 / 이상철
제14장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 '세계화'정책과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 / 임현진, 정일준
제15장 한국 페미니즘과 고학력 여성의 노동권 / 문소정
제16장 인권규범의 전지구화와 외국인력 정책 / 설동훈
제17장 인권규범의 국제화 : UN 인권소위원회에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 정진성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