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지식과 사회

박명림 지음

판매가(적립금) 준비중
분류 나남신서 94900
판형 신국판
면수 488
발행일 2011-06-15
ISBN 9788930085540
수량
총 도서 금액     준비중
 

 

이 책은 광주항쟁 이후 30년 동안 우리 사회의 한국전쟁 연구와 이해의 궤적을 한국과 세계의 변화를 유념하며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이 일반적 학지사(學知史)나 연구사와 크게 다른 것은, 학계 내부의 논쟁과 시각변화를 넘어 학문과 사회의 변화를 함께 고찰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역사를 고리로 지식과 사회의 대화방식, 또는 사회와 역사의 대면방식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사회에는 한국과 세계가 모두 포함되어 사회주의 붕괴나 북한쇠퇴, 한국의 민주화와 같은 거대변화에 따른 한국전쟁 이해의 변천을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국과 세계의 변화에 따른 한국전쟁 이해와 연구의 변화풍경이 이 책의 중심내용을 이룬다. 또한 책의 소재는 한국전쟁연구이지만, 실제로는 이를 창(窓)으로 삼은 두 카테고리들, 즉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 학문과 현실, 역사와 지식, 역사이해와 미래창조 사이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금도 남북한을 옥죄고 있는 ‘전후체제=53년체제’의 질곡을 해체하고 이 땅에서 다시는 그러한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연구는 반드시 이 전쟁으로 인해 우리들 사회적 개인적 삶의 어깨 위에 떨어진 중압과 노고를 덜어주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식인들은 이성과 진리에 대한 믿음 아래 한국전쟁의 비극과 슬픔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의 지혜와 이론을 창안해 내야 한다고 이 책은 말한다.
서문 
 
제1장  서론: 역사와 현실과 학문
1. 역사와 현실
2. 역사와 현실과 학문 

제2장 《해전사》, 광주항쟁, 인식의 전환
1. 광주항쟁과 한국전쟁 
2.《해방전후사의 인식》의 등장과 의미
3. 자료와 도서해금, 그리고 항체형성 
4. 시각과 이론의 전파와 확산: 번역 

제3장  연구의 시작, 시각의 분기
1. 한국전쟁의 초기 학문화 
2. 체험과 이성: 리영희와 김학준 
3. 민중운동과 이념주의 
4. 최장집?하영선?유영익: ‘기층’, ‘국제’, 그리고 ‘수정주의 이후’ 시야로부터의 접근 
 
제4장 급진구조주의의 등장과 한계: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연구
1. 현대한국 연구와《한국전쟁의 기원》
2. 탈냉전과 급진시각 
3. 커밍스 연구의 한계와 대안모색 

제5장  현실과 학문: 냉전해체, 북한위기, 민주화, 그리고 반성적 지양
1. 사회주의 붕괴, 북한파탄, 지양적 종합 
2. 급진주의 이후의 문제군들 

제6장  이성과 자유의 산물: 새 세대, 시각, 방법, 주제의 등장(I)

1. 이념을 넘어, 분야를 넘어: 새 세대, 새 주제의 분출 
2. 정치, 군사, 남북관계, 국제, 종합 
3. 사회, 계급, 민중, 기억, 종교 

제7장  이성과 자유의 산물: 새 세대, 시각, 방법, 주제의 등장(II)

1. 경제: 두 가지 길, 내재적 발전, 토지개혁, 전후 변동 
2. 역사학의 전환과 역사연구의 본령으로 
3. 문학, 젠더, 법률, 미술 

제8장  인간을 위해, 평화를 향해(I)
1. 시민, 국가, 그리고 역사
2. 전후 최대의 공공역사기구―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제9장  인간을 위해, 평화를 향해(II)
1. 평화와 화해, 진실과 인간 
2. 시각과 주제와 자료 
3. 조망과 개입, 학문과 실천
4. 부분과 전체, 방법과 이론: 융합과 보편의 전제 
5. 전달체계와 매개영역

제10장  맺음말: 영혼의 독립으로
1. 자유와 평등 
2. 진보와 미래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 
 
 

 

박명림
 
고려대학교 졸업.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실장 및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협동연구학자 역임.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 협동과정 교수.
주요 저서:《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I?II,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戰爭と平和: 朝鮮半島 1950》, 《다음 국가를 말하다》 등.
주요 수상경력:〈월봉 한국학상〉(1997),〈90년대의 책 100〉(1999),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03),〈한국의 책 100〉(2005),  <동아시아 100권의 책〉(2009) 등.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