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화의 형성

주창윤 지음

판매가(적립금) 22,000 (1,100원)
분류 나남신서 1804
판형 신국판
면수 460
발행일 2015-07-20
ISBN 978-89-300-8804-6
수량
총 도서 금액     22,000

이 책은 문화연구자로서 대중문화사, 문화트렌드 연구, 영상 이론 등을 꾸준히 연구해온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한국 근․현대 문화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결과를 모아 엮은 책이다. 1920년대 ‘모던 걸’, ‘모던 보이’들의 세대 문화에서 시작하여, 1950년대를 풍미한 댄스열풍, 1970년대 ‘통․생․블’(통기타, 생맥주, 청바지)로 대변되던 청년세대 문화, 1990년대 신세대 문화와 2000년대 초반 ‘나꼼수’ 열풍 등, 한 시대에 큰 획을 그은 문화 현상을 당대의 사회적 맥락과 계급, 세대, 젠더, 테크놀로지 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면밀히 파헤쳤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시대를 살았던 이들을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주체로 주목했음이 돋보인다. 

제1장   1920~1930년대 ‘모던세대’의 형성과정
 
1. ‘단단한 근대’에서 ‘부드러운 근대’로
 
2. 모던세대 형성의 맥락
 
3. 모던세대의 주체
 
4. 모던세대의 구성 
 
5. 모던세대의 문화양식
 
6. 1920~1930년대 모던세대의 문화사적 의미
 
 
 
제2장   해방공간, 유행어로 표출된 정서의 담론  
 
1. 해방공간의 유행어   
 
2. 해방공간의 일상사적 풍경  
 
3. 연구방법  
 
4. 해방공간에 나타난 유행어 담론유형 
 
5. 해방공간 정서의 담론구성체  
 
6. 극단의 시기, 극단의 언어 
 
 

 
제3장   1950년대 중반 댄스열풍
__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1. 댄스열풍 논쟁  
 
2. 전후 심성체계의 변화와 1950년대 대중문화 논의
 
3. 연구방법 
 
4. 1950년대 중반 댄스열풍과 댄스홀 풍경
 
5. 전후파 여성(혹은 아프레 걸)에서 ‘어머니’로
 
6. 댄스, 근대성과 전통성 접합의 장 
 
7. 개인의 욕망과 도덕담론
 
 

 
제4장   1960년대 전후 라디오 문화의 형성과정  
 
1. 라디오 문화 형성의 역사적 계기  
 
2. 1960년 전후 라디오의 제도화과정
 
3. 다양한 문화형식의 (재)매개로부터 라디오 문화의 위치 찾기 
 
4. 라디오와 경험의 매개: 국가공동체와 사사화 
 
5. 국가권력으로부터의 종속과 사적 영역의 확장 
 
 

 
제5장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정치학
 
1. 청년문화의 부상
 
2. 세대 논의와 한국사회의 세대문화
 
3. 연구방법
 
4.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유형
 
5.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질서와 정치학
 
6. 청년문화의 새로운 모색   206
 
 

 
제6장   1975년 전후 한국 당대문화의 지형과 형성과정
 
1. 1975년 전후의 문화적 중요성
 
2. 1975년 전후 정치ㆍ문화사적 맥락
 
3. 대중문화의 지형변화  
 
4. 전통의 재창조: 통합과 저항 
 
5. 1975년 전후 당대문화의 접합과 통합  
 
6. 대중문화의 퇴행 
 
 

 
제7장   1980년대 민중문화의 형성과정
__대학 연행예술운동의 창의적 변용과정을 중심으로
 
 

 
1. 전통의 창의적 변용
 
2. 1980년대 ‘민중’과 연행예술의 위치
 
3. 연행예술로서 마당극의 소통방식  
 
4. ‘제의’, ‘놀이’, 그리고 ‘집회’의 통합의례  
 
5. 상징장소와 현장으로서의 ‘판’ 
 
6. 전통의 전유와 재전유
 
7. 연행예술운동의 편입과 변화
 
 

 
제8장   1990년대 신세대문화의 이중성
__편입과 저항
 
 

 
1. 신세대의 차별성
 
2. 1990년대 신세대 유형들
 
3. 신세대문화의 정체성
 
4. 신세대문화의 이중성
 
 

 
제9장   놀이공간으로서 인터넷 문화의 형성과정
 
1. 2002년, 인터넷 참여문화의 기점
 
2. 인터넷 놀이주체의 이동성
 
3. 놀이공간으로서 인터넷  
 
4. 인터넷 놀이와 의례를 통한 참여
 
5. 온/오프라인의 결합 
 
 

 
제10장  젠더호명과 경계 짓기
 
1. 구별짓기로서 젠더호명  
 
2. 한국 젠더문화에서 여성호명:  ‘경계인으로 여성을 타자화하기’
 
3. 관점과 방법 
 
4. 여성호명과 담론의 질서
 
5. 섹슈얼리티로서 남성호명
 
6. 한국사회 젠더호명의 정치학: 진단과 함의
 
 

 
제11장  좌절한 시대의 정서적 허기
 
1. 정서적 허기
 
2. 정서의 구조: 재논의
 
3. 위로
 
4. 분노 혹은 정의감
 
5. 연대감 혹은 공감
 
6. 세대/계급 수렴의 장으로 정서적 허기
 
 


참고문헌
 
이 책의 출전
 
찾아보기
 

지은이 ㅣ 주창윤
한양대학교 및 동대학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고, 영국 글래스고대학교 Film & TV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로 있다. 1986년〈세계의 문학〉 봄 호로 시단에 나와 시집《물 위를 걷는 자 물 밑을 걷는 자》,《옷걸이에 걸린 羊》을 냈다. 전문 연구영역은 근대성, 세대, 테크놀로지 관점에서 논의하는 대중문화사, 문화트렌드 연구, 영상이론이다. 관련 저서로는《허기사회》, 《대한민국 컬처코드》, 《영상 이미지의 구조》,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 미학 해독》 등이 있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SBS 시청자위원,〈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