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적 문화기술지

도로시 스미스 지음 김인숙, 강지나, 우아영, 조혜련, 하지선, 한상미 옮김

판매가(적립금) 20,000 (1,000원)
분류 나남신서
판형 신국판
면수 416
발행일 2014-03-05
ISBN 978-89-300-8744-5
수량
총 도서 금액     20,000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사람을 위한 사회학’이다.

사람을 위한 사회학은 사람들을 대상화하여 그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주류사회학과 대조된다.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단순히 이론의 비호하에 사람들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탐구에 대한 사회학적 전략의 방법이 아니라, 사람들의 경험으로부터 탐구를 시작한다.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캐나다 사회학자인 도로시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그녀의 출발은 페미니즘 사상이었지만, 마르크스와 가핑클, 푸코, 미드, 바흐친 등의 영향을 받아 ‘사람을 위한 사회학’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발전시켜나갔다. 처음부터 제도적 문화기술지라는 방법론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학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방법론이 발전하는 경로를 밟았다고 볼 수 있다. 
여성학이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를 핵심 원리로 하고 있다면,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핵심 원리는 ‘개인적인 것은 제도적인 것이다’로 표현할 수 있다. 사람들의 개인적 삶에는 늘 제도적인 것이 얽혀 있기 때문에 개인의 경험, 행위 속에는 ‘제도적인’ 흔적들이 배태되어 있다. 즉, 사람들의 일상생활은 그들이 가진 동기나 의도를 넘어 제도적 질서에 의해 조정되고 협정된다.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사람들의 일상의 경험들이 제도적인 것과 연결(조직화, 조정)되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목적은 사람들의 ‘경험’이나 ‘제도’ 그 자체를 설명하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경험 너머의 것을 ‘연결’하는 데 있다. 제도적 문화기술지에 대한 이해는 이 ‘연결고리’의 모습을 어떻게 그려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맞닿아 있다.

도로시 스미스는 이 책에서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개념적, 이론적 토대와 연구수행에 필요한 개념적, 방법론적 장치들을 다룬다. 여기서 풍성하고 깊이 있게 다루는 이론적, 개념적 토대를 시간을 갖고 충분히 이해한다면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 실행에 필요한 중요한 지침과 방법들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옮긴이 머리말  5

∙ 편집자 머리말: 이 책에 관하여  10

∙ 머리말  13


제1부 사람을 위한 사회학 만들기


제1장  여성들의 입장: 체현된 앎 대 지배관계  25

1. 여성들의 입장과 지배관계  29

2. 젠더와 지배관계의 역사적 변천  35


제2장  ‘사회’를 알아가기: 대안적 설계  55

1. 객관화된 사회관계를 재조직화하기  57

2. 제도적 문화기술지란 무엇인가? 다른 연구접근과의 대조  59

3. 경험과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문제틀  73

4. 결론  80


제2부 사회에 관한 존재론


제3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존재론  85

1. 사회에 대한 존재론  89

2. 제도, 언어, 그리고 텍스트  117

3. 결론  119


제4장  언어: 주관성의 조정자  123

1. 언어를 사회적인 것으로 재개념화하기  125

2. 경험 기반 영역과 텍스트 기반 영역  143

3. 결론  157


제3부 문화기술지로 제도에 접근하기


제5장  텍스트, 텍스트-독자 대화, 제도적 담론  161

1. 텍스트-독자 대화  166

2. 제도적 담론에 대한 텍스트-독자 대화  177

3. 제도적 조정자로서의 텍스트  190

4. 결론  192


제6장  대화와 자료로서의 경험  197

1. 대화로서의 경험: 문제  199

2. 대화로서의 경험에 대한 대안적 이해  203

3. 경험, 언어 그리고 사회적 조직화  206

4. 자료와 대화하기  217

5. 결론  227


제7장  일 지식  231

1. 대학 성적과 학점 매기기에 관한 일 지식: 하나의 짧은 문화기술지  232

2. 일 지식: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자의 자료  238

3. 일 지식  240

4. 제도적 포획의 문제  249

5. 일 지식 모으기와 지도 그리기  252

6. 결론  258


제8장  텍스트와 제도  261

1. 텍스트는 어떻게 조정하는가  269

2. 결론  286


제9장  힘, 언어, 그리고 제도들  289

1. 제도적 실재의 형성  296

2. 규제적 틀  302

3. 결론  313


제4부 결론


제10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기반과 전망  319

1. 우리의 연구기반은 어디인가?  320

2.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확장  331

3.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집합적 작업  341


옮긴이 해제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347


∙ 용어사전  373

∙ 참고문헌  384

∙ 찾아보기  406

 

 

지은이 ㅣ 도로시 스미스(Dorothy E. Smith)

도로시 스미스는 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교육 평등연구(Sociology and Equity Studies in Education) 전공 명예교수이자, 브리티시컬럼비아에 있는 빅토리아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이다. 그녀는 지난 30여 년 동안 사회학에서 여성의 입장이 갖는 의미를 발전시키는 데 열중해왔다. 현대사회의 조직화와 사회관계의 특징들이 객관화된 형태로 다루어져온 것을 문제적으로 바라보는 그녀는 최근에는 권력의 조직화에 있어 텍스트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을 제도적 문화기술지라고 부르는데, 이는 사회학에서 시도되는 하나의 분야가 되고 있으며,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자들은 사회관계가 사람들 경험의 일상세계를 어떻게 조직화하는지를 그려나감으로써 누구나 몸담고 있는 일의 세계를 보다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옮긴이   
김인숙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부 사회복지전공 교수
강지나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우아영  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행정전공 교수
조혜련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하지선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한상미  인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