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도시를 넘어서

박세훈 지음

판매가(적립금) 18,000 (900원)
분류 나남신서
판형 신국판
면수 380
발행일 2014-02-15
ISBN 978-89-300-8738-4
수량
총 도서 금액     18,000

우리나라의 도시문화정책은 매우 일천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도시 단위로 문화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것은 기껏해야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의 양상은 가히 문화정책의 시기라고 할 만큼 무수한 정책이 난무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정책들이 지역사회의 문화적 역량과는 관계없이 지방자치단체 혹은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 사업으로 추진된다는 점이다. 문화라는 이름으로 건물을 짓고 도로를 내는 등의 대규모의 토목사업이 추진되지만, 막상 호화스러운 건물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문화정책은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기보다는 관료와 문화인들 그리고 지역주민 사이에 갈등과 반목을 가져오기 쉽다. 문화라는 외피를 입고 있지만, 이는 산업시대의 개발주의의 관행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문화개발주의(cultural developmentalism)라고 부를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우리의 도시문화정책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2014년 세종도서 우수도서 교양부문 선정

도시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ㆍ박세훈  5

 

1 이론적 쟁점

 

문화, 경제 그리고 도시   김원배_19
문화와 경제  20
문화와 도시  26
장소와 문화, 문화도시 및 창조도시  31
문화산업, 문화관광, 문화(산업)지구  39
문화전략과 도시발전  46
결론: 도시와 문화 연구에 대한 시사점  51

 

문화와 도시계획: 오래된 역사, 새로운 만남   박은실_59
들어가며  59
도시계획에서 문화전략의 등장배경  61
문화와 도시계획 역사적 조망  66
문화와 도시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시대별 특징  74
결론 및 시사점  106

 

창조도시론, 어떻게 볼 것인가?   남기범_113
창조도시론의 등장 배경  113
창조도시론의 전개과정  117
창조도시에 대한 비판적 성찰  125
창조도시론의 한국적 함의  131


문화지구의 사회경제학:창조의 요람인가, 상업화의 도구인가?   박세훈_139
문화지구를 다시 생각한다  139
문화지구의 개념, 유형, 변화사이클  142
문화지구와 창조성: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149
문화지구의 경제적ㆍ사회적 효과  152
우리나라의 문화지구: 현황과 과제  160
문화지구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167
창조적 문화공동체를 향하여  171

 

2 실천적 경험

 

서울특별시 예술창작공간 조성정책의 성과와 과제   김윤환_179
들어가며  179
서울시 도시문화정책과 컬처노믹스 전략  180
서울시 창작공간 조성사업의 전개  186
국내 창작공간정책의 흐름과 쟁점  193
서울시 창작공간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
몇 가지 제언  205

 

부산시 도시문화정책의 성과와 과제:또따또가 그리고 그 이후  차재근_209
들어가며  209
‘부산 문화비전 2020’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210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이야기  217
또따또가 이후 부산의 도시문화전략  236

 

대구의 재발견, 시민주도 도시문화운동의 경험   류태희_241
글을 시작하며  241
‘대구의 재발견’, 도시문화운동 10년의 궤적  243
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  250
북성로 재발견 프로젝트  257
중구 도시문화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65
글을 마무리하며  270

 

인천시 도시문화정책을 되돌아본다:개발주의와 도구적 문화정책   민운기_273
들어가기에 앞서  273
‘문화’에 대한 인천시의 사고와 태도 변화  274
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 사업과 ‘문화’  277
“명품도시 인천 건설” 속 ‘도시재생’ 사업과 ‘문화’  279
일방적 개발주의에 반기를 든 배다리 싸움  291
민선 5기 송영길 인천시정부의 출범과 도시정책  294
도시정책의 전면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302

 

3 향후 과제

 

문화적 도시재생의 해석과 과제   조명래_307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시대  307
문화적 도시재생의 (재)해석  309
한국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방식과 오류  316
올바른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의 모색  325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문화전략,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영범_337
문화도시 10년을 통해 본 도시문화전략의 문제점  337
지역에 기반한 시민문화공동체의 다양한 실험  349
커뮤니티와 상생하는 도시문화전략 추진방향  365

 

저자 약력 377

박세훈(朴世訓)

서울대 행정학 박사, 일본 도쿄대학 방문연구원

현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주요논저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Bohemian Therapy for Ailing Neighborhood: Artist Community and Public City Making in Busan, Korea”,《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도시정책 과제》(공저),《도시재생을 위한 문화클러스터 활용방안 연구》(공저) 기타 도시사회 및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 다수


김원배(金原培)

미국 위스콘신대학 도시및지역계획 박사

현재 중앙대 사회과학대학 초빙교수

주요논저 Culture and the City in East Asia(공편), Asian NIEs and the Global Economy(공편), Collaborative Regional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공편) 등

 

박은실(朴恩實)

서울대 도시공학 박사

현재 추계예술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교수

주요논저 “도시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창의경제와 문화예술의 역할》(공저),《지역문화정책 개선 방안》(공저),《창조적인 도시조성을 위한 정책》(공저) 등


남기범(南基範)

캐나다 서스캐치완대학 경제지리학 박사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도시사회학과 교수

주요논저 “공공미술의 공공성과 주체간 관계의 특성”, “사이버공간의 이용과 도시공간의 변화”, “클러스터 정책실패의 교훈”,《현대경제지리학강의》(공역),《도시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산업》(공저),《도시의 소비공간》등


김윤환(金潤煥)

중앙대 조소과 중퇴, 홍익대 회화과 중퇴

현재 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책임연구원

주요논저《문래창작촌 연구》(공저),《문래예술공단 환경조형물 제작 생태계 조사연구》(공저),《2013 세상을 바꾸는 생각들, 산+문·예, 명품 산업공간으로 가는 길》(공저),《유휴시설을 활용한 서울시 예술창작공간조성》(공저),《서울, 마을을 품다》(공저), 《나의 아름다운 철공소: 예술과 도시가 만나는 문래동 이야기》(공저),《적게 천천히 인간답게, 예술사회》(저서),《행정×아트 in Seoul》 등

 

차재근(車載根)

서경대 경영학과 학사

현재 부산문화재단 문예진흥실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지협 정책협의회 의장,

부산발전연구원 자문위원

주요논저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 “부산형 창작공간과 문화적 도시재생”,《또따또가 이야기》, 《스토리텔링 장마전선》(공저), “문화적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국제문화교류, 지역국가를 향하다”, “지역문화재단 활성화, 어떻게”, “문화트렌드 변화와 문화정책”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