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문명론

김문조 지음

판매가(적립금) 20,000 (1,000원)
분류 나남신서
판형 신국판
면수 352
발행일 2013-09-05
ISBN 978-89-300-8717-9
수량
총 도서 금액     20,000

분석의 시대에서 종합의 시대로: 융합의 시대가 오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류 역사는 미분화 상태에 놓여 있던 사건이나 행동들이 분화나 전문화 과정을 거쳐 잘게 나뉜 ‘분할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과거 수천 년간 세계의 변화를 주도해온 분할적 힘이 융합적 힘으로 대체되는 조짐이 도처에서 드러나고 있다.

 

다양한 정보를 일률적인 형식으로 전환해 수신?저장?가공?송출하는 디지털 기술의 특성, 나아가 무한복제나 변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기술의 효능이 네트워킹 기술과 합류하여 소통양식의 일대 혁신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①융합현상과 논리가 풍미하는 융합문명의 기원과 의의를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정립하고, ②교류, 혼합, 변성, 창발. 분리 및 교류를 되풀이하는 융합적 사회현실에 관한 접근법을 구축한 후, ③융합사회의 전개 과정, 특성 및 역동성을 규명하고, ④융합시대의 문제점과 대응책을 논구해보고자 한다.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머리말   6


 제1장  서론:융합의 시대가 오고 있다   15

 

 제2장  융합문명의 출현 배경 및 동향   21

1.출현 배경   21

2.미디어 세계의 변화상   31

3.생활환경의 변화   33

4.내적 의식세계의 변화   36

5.시간적 공간적 인식의 변화   42

6.소결: 융합적 질서를 찾아서   46

 

 제3장  융합시대의 문명론적 이해   49

1.문명론적 시각   49

2.문명의 동역학   51

3.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적 재조명   59

4.소결: 융합 논리의 재구성   66

 

 제4장  융합문명의 시원   67

1.정보혁명   67

2.디지털 기술   79

3.디지털시대의 기술사회구성체   89

4.소결: 기술융합의 사회적 확장   95

 

 제5장  융합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97

1.미디어 기술과 사회   97

2.미디어 경관(Media-Scape)의 변모   101

3.미디어 기반 사회   109

4.미디어 기반 사회의 향방   118

5.소결: 미디어는 사회다(Medium is Society)   130

 

 제6장  디지털 융합의 사회적 파장   133

1.사회체계의 유연화   133

2.사회 유연화의 배태 요인   135

3.사회 유연화의 파급효과   140

4.생활영역 및 생애주기의 탈경계화   157

5.유연사회의 빛과 그늘   161

6.소결: 기술주의의 초극   165

 

 제7장  새로운 소통질서의 모색   167

1.융합미디어의 시대   167

2.미디어와 소통양식의 이중주   170

3.주류적 시각: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174

4.대안적 관점: 인본적 소통합리성   187

5.소결: 보편주의의 성상(聖像)을 넘어서   190


 제8장  융합의 영역별 개황   193

1.기기 융합   195

2.매체 융합   198

3.콘텐츠 융합   201

4.조직적 산업적 융합   206

5.제도적 융합   209

6.문화적 융합   212

7.의식적 융합   216

8.신체적 융합   218

9.소결: 융합적 삶(Vita Convergens)   220

 

 제9장  융합문명의 특성과 동학   223

1.초복잡계로서의 융합계   224

2.복잡계와 융합계   228

3.융합사회의 후속적 시나리오   230

4.고형사회→유동사회→파동사회   239

5.소결: 연결이 창조의 원동력   242

 

 제10장 융합시대의 도전과제   245

1.융합문명의 지속가능성   245

2.잉여의 문제   247

3.불균형의 문제   252

4.난제의 융복합화   257

5.대응방향   258

6.소결: 융합 엔트로피의 축소   265

 

 제11장 융합시대의 정책적 구상   267

1.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   267

2.융합시대의 사회정책에 관한 열두 가지 명제   291

 

 제12장 맺음말:포용적 융합사회를 향하여   311

 

참고문헌   315

찾아보기   328

지은이 ㅣ 김문조
서울대 화학과, 고려대 대학원 사회학과 및 미국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에서 수학한 후 1982년부터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사회학 이론, 지식과 사회,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치면서 노동?정보사회?문화?과학기술?현대사상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이론사회학회장, 한국과학기술학회장, 한국사회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아시아사회학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 “Surveillance Technology, Privacy and Social Control”(2004), “數字隔構的 批判性 再檢討”(2005), “코스모폴리탄 사회학”(2009), “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2011), “Social Unrest in Korea”(201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1999),《韓國社會と日本社會の變容》(2005, 공편),《한국사회의 양극화》(2008) 등이 있다.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