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살의 인생설계

최진호 김중백 박희영 고영건 안귀여루 이선이 이영봉 신은주 성정현 민현주 황매향 류연규 지음

판매가(적립금) 16,000 (800원)
분류 나남신서
판형 신국판
면수 424
발행일 2012-08-30
ISBN 9788930086455
수량
총 도서 금액     16,000
 

 지금 한국의 젊은이들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예찬의 대상이던 청춘이 언젠가부터 아픈 것으로, 아파야 하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이 시대 젊은이들을 ‘삼포세대’라고 부른다. 연애, 결혼, 출산 이 세 가지를 포기한 세대라는 것이다. 이렇게 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이어지는 젊은이들의 팍팍한 삶은 위로를 넘어 도움이 필요하다.

 《스무 살의 인생설계》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었다. 사람, 마음, 관계, 일, 총 4부로 구성된 이 책은 1부에서 한국에서 진행되는 급격한 인구변화를 조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저출산, 고령화라는 사회문제를 이해시키는데, 이는 젊은이들이 당면할 현실문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부와 3부에서는 마음, 즉 행복과 관련된 담론과 사랑과 결혼, 가족 구성 등 새로운 관계맺기에 대한 조언이 이어진다. 4부에서는 진로의 선택과 취업, 나아가 일과 가족의 양립이라는 현실적 문제들을 다룬다.

 이 책을 통해 젊은이들은 급격한 인구변천으로 초래될 한국의 미래사회 모습을 정확히 인식하고, 변화된 사회에서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 데 실제적인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부 사람

01 한국 인구변화와 미래전망 / 최진호    

02 인구변천의 영향 / 김중백     

2부 마음

03 행복이란? / 박희영  

04 행복의 조건 / 고영건 

05 행복의 추구 / 안귀여루       

3부 관계

06 현대사회와 가족 / 이선이

07 사랑과 성 / 이여봉   

08 결혼과 부부관계 / 신은주     

09 부모자녀관계 / 성정현 

4부 일

10 직업변화와 취업 / 민현주     

11 진로의 선택과 개발 / 황매향  

12 일과 가족의 양립 / 류연규

 

최진호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미국 브라운대학 사회학박사.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임. 현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학생처장, 대학원장. 한국인구학회장. 한국지역학회장.

주요 논저:《한국의 인구와 가족(공저), 대도시 지배와 한국의 도시체계,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이유 등.


김중백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 사회학 박사. 미국 테네시 주립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역임. 현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한국인구학회와 한국보건사회학회에서 이사로 활동 중.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편집위원.

주요 논저: “Volunteering and Trajectories of Depression”,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Divorce and the Sense of Control” 등.


박희영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프랑스 파리 제 4(소르본) 대학원 철학박사. 공군 제2사관학교, 경남대학교 교수 역임.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대 철학과 교수. 서양고전학회 회장.

주요 논저:《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편), 플라톤의《향연, 장 피에르 베르낭의《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유, 프랑수아 줄리앙의《사물의 성향(역서), “그리스 철학에서의 To on, einai, ousia의 의미”, “도시국가(Polis)의 형성과 진리(Aletheia) 개념의 형성” 등.


고영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및 박사(임상심리 전공).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임상심리전문가. 건강심리전문가. 미국 예일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 연구원. 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장. 한국임상심리학회 부회장. 병무청 자문위원.

주요 논저:《인디언 기우제》,《심리학적인 연금술(공저),《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공저).


안귀여루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 석ㆍ박사.

심리상담센터 호연 공동대표 역임. 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주요 논저:《임상심리학(공저),《문제유형별 심리치료 가이드북(공저).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 상호 교류모형과 인지적 평가의 개념”, “스트레스의 종류와 인지적 평가에 따른 생리적 반응 및 수행”, “이성교제 폭력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변인들에 대한 연구”, “여교사의 취업 및 결혼의 질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선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미국 에모리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아주대학교 여성센터장, 에모리대학교 사회학과 객원교수, 수원시 여성발전위원회 부위원장, 통계청 통계위원, 한국 가족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등 역임.

주요 논저: 《일과 가족 사이(공저),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분석”,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성별에 따른 지지적ㆍ통제적 양육행동: 5개국 비교 연구” 등.


이여봉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현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주요 논저:《가족 안의 사회, 사회 안의 가족》,《탈근대의 가족들: 다양성, 아픔, 그리고 희망,《21세기 여성과 남성: 수렴과 확산의 미학,《우리 시대 이혼이야기(공저),《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공저),《가족의 사회학적 이해(공저).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딸과 친정부모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부부간 평등 및 형평 인식에 관한 연구”, “자원교환이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공저), “청소년자녀와 부모 간 긍정적ㆍ갈등적 상호작용: 국가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공저) 등.


신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 국가인권위원회 성평등조정 위원, 한국여성단체연합 복지분과 위원, 한국여성재단 배분위원,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사. 한국다문화가족학회 회장 역임, 현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 다문화가족센터 소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회장.

주요 논저:《가족복지학(공저),《나의 선택, 나의 꿈(편저),《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등.


성정현


연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ㆍ박사. 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부모가족복지시설평가위원장 역임.

주요 논저: 《가족복지론(공저),《인터넷 자료를 통해 본 한국의 이혼 문화와 사회복지(공저), “이혼공동체의 현황과 특징: 온ㆍ오프라인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조기유학 청소년의 유학 결정과정과 유학경험”(공저) 등.



민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미국 코넬대학교 사회학 박사.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조교수. 사회통합위원회 세대분과 위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주요 논저:《It’s About Time(공저), “자녀출산과 양육시기동안의 여성취업 유형화: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의 적용”, “여성취업의 두 갈래 길: 상위와 하위수준 일자리 진입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등.


황매향


서울대학교 제약학과 및 교육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교육상담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 미국 미주리대 커리어센터 초빙연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대우교수 역임. 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요 논저:《진로탐색과 생애설계(공저),《진로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타협과정, “직업별 RIASEC 코드의 수렴타당도” 등.


류연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역임. 현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 논저: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탈가족화 수준 비교”, “일가족양립정책과 노동시장 젠더 형평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복지국가의 아동가족복지지출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연구-OECD 국가를

중심으로”, “복지국가의 아동가족복지지출과 아동빈곤율의 관계-OECD 국가를 중심으로” 등.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