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예술 교육론

다니엘 라구트 外 지음 김현수 옮김

판매가(적립금) 30,000 (1,500원)
분류 학술명저번역총서(학술진흥재단) 94650
판형 신국판
면수 510
발행일 2011-02-05
ISBN 978-89-300-8518-2
수량
총 도서 금액     30,000

조형예술 교육론 - 내용?목표?궁극목적

 

Les arts plastiques: contenus, enjeux & finalite?s

 

 

 

 

 

 

 

이 책《조형예술 교육론은 새로운 시대변화에 맞는 프랑스 초?중등학교 조형예술 교육의 발전적인 향방과 내용, 궁극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조형예술 및 조형예술 교육에 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고자 10명의 미학자, 미술사가, 교육자, 화가, 교육행정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집필한 책이다. 저자들은 조형예술 및 조형예술 교육론이라는 분야를 바라보는 다양하고 보충적인 관점들을 미술사, 교육학, 미학, 철학, 심리학적 방법론 및 현장경험에 토대해서 제시한다.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 차례

 


 

ㆍ옮긴이 머리말 

 

ㆍ머리말 | 다니엘 라구트 

 


 

조형예술 교사교육의 목적과 내용 | 다니엘 라구트

 

1. 조형예술이란 무엇인가

 

1. 오늘날의 조형예술

 

1) 볼거리를 주기

 

2) 특수한 방법 

 

3) 어떤 기법들인가 

 

2. 조형예술 교육의 초보적 진화?발전

 

3. 욕구를 새겨 넣기 

 

1) 아동의 세 가지 요구조건: 만들기?나타내 보이기?볼 수 있게 만들기

 

2) 어떤 내면적 움직임: 구조 개념

 

3) 뭔가를 만들기: 조작?실행적 구조 

 

4) 뭔가를 표현?묘사하기: 정의적(情意的) 구조 

 

5) 불명료한 뭔가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만들기: 형상적 구조 

 

6) 이미지의 출현: 형상화 

 

7) 교육학적 결과들: 아동의 표현을 함께하기 

 

4. 1985년의 공식 교과서와 그 해설

 

1) 프로그램 

 

2) 해설

 

3) 목표 

 

4) 수준을 특징짓는 것

 


 

2.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

 

1. 미술교육의 궁극목적으로서의 조형예술가의 지성

 

2. 진보는 표현 속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축적에 의한 진화?발전 

 

2) 유기적 진화?발전 

 

3) 모색에 의한 발전

 

4) 통합에 의한 진화?발전 

 

5) 미확정에 의한 진화?발전 

 

3. 오직 창조적 학습태도만을 가르쳐야 한다 

 


 

3. 교사를 위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1. 교과 내용 

 

1) 바라보기: 이미지로 된 사유 

 

2) 인식하기: 지시적 사고 

 

3) 실현하기: 형성적 사고 

 

4) 상상하기: 발산적 사고(pense?e divergente

 

5) 배우기: 집중적 사고 

 

6) 작품을 감상하기: 평가적 사고

 

2. 교육학적 실천 내용 

 

1) 기법 습득 

 

2) 사회적 활동

 

3) 실천을 통해 가르치기

 

3. 협력장학(協力?學) 기능 내용 

 

1) 몇 가지 행동 

 

2) 조형예술을 위한 문화적 자원들 

 

3) 재정지원 

 

4) 장학지도 

 


 


 

미술의 실제적 목표 | 마르크 르 보트

 

미술의 실제적 목표

 


 

결정적 오류 장피에르 르 불크

 

결정적 오류

 


 

조형예술과 정신의 형성 | 제라르 귀요

 

1. 인식론적?심리적 장애물들

 

1. 미술관적 표현 

 

2. 장식적 표현 

 

3. 기술주의적 표현 

 

4. 창조론적 표현 

 

5. 신화적 표현 

 


 

2. 조형예술과 심리학적 연구

 

1. 체계적 접근 요소들 

 

2. 조형적 거리와 심리학적 거리 

 

3. 심리적인 것과 창조적인 것의 연결 

 

1) 신체에서 코드로 

 

2) 창조성과 창조 사이 

 

4. 상상력과 상상적인 것 

 


 


 

미술교육의 현장 | 브뤼노 뒤보르젤

 

미술교육의 현장

 

1. 기하학의 현장과 ‘느끼기’의 현장: 본원적 갈등

 

2. 에밀의 방과 사물모사의 현장 

 

3. 교육…심리학적 현장

 

4. 스펜서적 질문의 현장

 

5. 전시현장과 F. 들리니의 분노

 

6. 창조성의 현장 주변에서: 총괄적 개관

 

7. 해방된 본원적 표현의 현장: 아르노 스테른의 아틀리에

 

8. 아동, 창조성, 아르 브뤼에 관하여: 장 뒤뷔페의 현장에 관하여 

 

9. 어떤 반(反)현장: 레비스트로스의 어떤 노스탤지어에 관하여

 

10.나의 현장에 관하여: “상징적 인간”, 까다로운 어린이 피그말리온, 교육자 헤르메스

 


 

예술과 교육학 | 앙드레 카토

 

1. 서론

 


 

2. 예술과 교육학의 본질

 

1. 교육학은 기능적이거나 상대적인 소통의 장(場)에 위치한다 

 

2. 예술, 그것은 무상적(無償的), 혹은 절대적 소통의 장(場)에 위치한다

 

3. 예술을 위한 예술 

 

4. 예술: 인격 창조 

 


 

3. 순수본질을 향하여

 

1. 예술적 관계의 양극 

 

1) 마르셀 프루스트와 조르주 페렉 

 

2) 마르셀 프루스트와 고전예술: 예술의 순수본질로서의 작품 

 

3) 조르주 페렉과 현대예술: 예술가의 인생사용법 

 

4) 그러한 것들이야말로 예술적 관계의 대립적인 극단적 경향들이다 

 

2. 교육학적 관계의 양극 

 

1) 전통적 학교는 아동을 현실의 여건에 적응시킨다 

 

2) 이와는 반대로 현대 학교는 아동이 직접 삶의 현실을 흡수?동화하는 곳이다

 


 

4. 예술과 교육학의 주요 특징

 

1. 옛날과 오늘날의 범주 

 

1) 예술적 범주 

 

2) 교육학의 범주 

 

2. 예술과 교육학의 내용 

 

1) 예술에서의 구상(構想) 

 

2) 예술적 실행 

 

3) 교육학적 구상과 표현 

 


 

5. 결론

 


 


 

교육학적 실행 | 클로드 레이트?에블린 우에?마리클레르 마르탱

 

1. 아동 데생의 자연스런 발전

 


 

2. 교사의 작업

 

1. 구상(構想) 

 

2. 물질적 조직 

 

1) 장소 

 

2) 시간관리: 서로 다른 조직유형들

 

3. 준비 

 

1) 한 세캉스의 조직

 

2) 한 세앙스의 준비 

 

3) 지시 

 

4) 상황들 

 

5) 평가 

 

4. 도구와 재료 

 


 

3. 목표의 정의

 

1. 교육의 궁극목적 

 

2. 목표 

 

3. 일반목표 

 

4. 실행적, 혹은 특수한 목표들 

 

5. 사례 

 

1) 목표와 관련한 수행의 결정 

 

2) 한 세앙스에 관한 연속적인 세부목표들 

 

3) 한 세앙스 위에 해체?분산된 세부목표들 

 

4) 병행적 목표들: 전문성/지식/창조로 포개기: CM2 

 

5) 불확실한 최종목표 

 

6. 구체에서 추상으로: 학교는 여러 가지 개념을 제시한다 

 


 

4. 교육학적 실천

 

1. 소단락: 한 맥락에 대한 설명

 

2. 학교의 프로젝트

 

1) 대지(大地)

 

2) 조형예술에서 교육학적 방식의 예: 몬스터(CM1) 

 


 

중등교육의 데생에서 조형예술까지 | 이브 벡뫼르

 

1. 데생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이?

 

2. 데생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려

 

3. 조형예술: 새로운 학과목

 


 

맺음말 | 다니엘 라구트

 


 


 

ㆍ옮긴이 해제 

 

ㆍ찾아보기 

 

ㆍ약력 

 

 

 

 

? 지은이 소개

다니엘 라구트(Daniel Lagoutte)

 

미학자이자 미술교육학자, 프랑스 교육부 장학관과 프랑스 중등교원자격시험(CAPES) 조형예술 부문 출제위원을 지냈다. 주요 (공)저서로는《신형상론 I: 아다미?아이요?뷔리?퀘코?에로?케르마렉?클라젠?텔레마크 등을 통해 본 1963년 이후의 새로운 이미지(La nouvelle figuration I: depuis 1963, une nouvelle image a? travers les oeuvres dAdami, Aillaud, Buri, Cueco, Erro, Kermarrec, Klasen, Te?le?maque..., Charles Dreyfus?Gilbert Pelissier 외 공저),《신형상론 II: 아로요?팔스트룀?프로망제?게프헨?랑시약?레칼카티?스템플리?벨리코비크의 작품을 통해 본 이미지의 이미지(La nouvelle figurationII: une image de limage a? travers les oeuvres dArroyo, Fahlstr?m, Fromanger, G?fgen, Rancillac, Recalcati,St?mpfli, Velickovic, Charles Dreyfus?Gilbert Pelissier 외 공저),《팝아트: 영국 팝아트와 미국 팝아트(Le popart: le popart anglais et le popart ame?ricain, Jeanne Bouniort?Virginie Herbin 공저),《조형예술교육(Enseigner les arts plastiques),《인간과 신화(Lhomme et les mythes, Jean-Pierre Hammel?Evelyne Martini 외 공저),《예술사 개설》(Introduction a? lhistoire de lart),《미술과 지식(Art & savoirs),《시각예술교육(Enseigner les arts visuels),《모두를 위한 미술: 180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학교 데생 교육(Un art pour tous: Le dessin a? le?cole de 1800 a? nos jours),《미술사교육방법론(Comment enseigner au cycle 3 lhistoire des arts, Fran?ois Werckmeister 공저) 등이 있다.

 


 

이브 벡뫼르(Yves Becmeur)

 

교육부 명예장학관. 주저로는《조형예술에서 자율적 상황: 볼륨 작업》(Situation dautonomie en arts plastiques: le travail en volume, Gilbert Pelissier?Jean Masson 외 공저)이 있다.

 


 

앙드레 카토(Andr? Catteaux)

 

프랑스 교육부 명예장학관. 주저로는《학교장학지도: 지방교육행정의 어떤 개념(LInspection acad?mique: une certaine conception de ladministra-tion de?partementale dans le?ducation)이 있다.

 


 

브뤼노 뒤보르젤(Bruno Duborgel, 1943~)

 

미학자. 프랑스 생테티엔 대학교 교수. 주저로는《아동작품에 있어서 상상력과 하늘의 그래픽적 재현(Imagination et repre?sentation graphique du ciel chez lenfant),《아동 데생: 구조와 상징(Le Dessin denfant: struc-tures et symboles),《재현 공간(Espaces en repre?sentation),《상상세계와 교육학: 학교 인습파괴에서 꿈의 문화로(Imaginaire et pe?dagogie: de liconoclasme scolaire a? la culture des songes),《이미지와 시간: 의미 공간에 관한 네 연구(Images et temps: 4 e?tudes sur lespace du sens),《반복의 형상: 미학탐구와 인간과학(Figures de la re?pe?-tition: recherches en esthe?tique et sciences humaines),《서사(書寫)의 형상: 조형예술?문학?음악(Figures du graphe?n: arts plastiques, litte?rature, musique),《단정된 힘: 하킴 베다르의 본원적 개입(Le?nergie affirme?e: intervention originale de Hakim Beddar) 등이 있다.

 

 

제라르 귀요(G?rard Guillot)

 

철학자. 리용 IUFM(Institut Universitaire de Formation des Ma?tres: 전문교사양성원) 교수. 주저로는《120마디 단어(Cent vingt mots, 라디오방송 원고 5부작),《자크 프레베르와 피에르 프레베르의 작품세계: 시나리오 주요장면 요약?비평?증언?영화목록?참고서지?참고그림(Les Pre?vert: extraits de de?coupages panorama critique, te?moignages, filmo-graphie, bibliographie, documents iconographiques) 등이 있다.

 


 

에블린 우에(?velyne Houet)

 

프랑스 교육부 조형예술교육 자문관.

 


 

마르크 르 보트(Marc Le Bot, 1909~2001)

 

고전문학자, 미학자, 미술비평가. 파리10대학(낭테르 대학), 파리1대학 교수를 지냈다. 예술작품과 그 생산관계, 미술과 사회의 관계에 주목해 왔다. 주저로는《프랑시스 피카비아: 1900~1925년 사이의 형상적 가치의 위기(Francis Picabia et la crise des valeurs figuratives, 1900-1925),《발레리오 아다미: 비평적 형식주의에 관한 시론(Valerio Adami: Essai sur le formalisme critique),《블라디미르 벨리코비크: 예술적 상징주의에 관한 시론(試論)(Vadimir Velickovic: essai sur le symbolisme artistique),《화가의 눈: 시론(LŒil du peintre: essai),《현대 데생(Dessins contempo-rains),《칼리프의 광기: 시론(La folie du calife: essai) 등이 있다.

 


 

장피에르 르 불크(Jean-Pierre Le Boul’ch, 1940~2001)

 

신형상파계열의 프랑스 화가. 툴롱(Toulon) 미술학교 졸업 후, 파리에서 활동. 회화작업의 연장으로서 사진을 즐겨 사용했다.

 

 

 

마리클레르 마르탱(Marie-Claire Martin)

 

실기학교 교장.

 


 

클로드 레이트(Claude Reyt)

 

미학자, 미술교육학자. 리브리 가르강 IUFM 교수. 주저로는《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조형활동(Les Activite?s plastiques: maternelle, e?le?mentaire),《학급미술관: 상상세계로의 열림(Le Muse?e de classe: une ouverture sur limaginaire),《조형창조의 길: 걸작회화작품 분석으로부터 교실 조형창조활동의 실제까지(Les chemins de la cre?ation plastique: de lanalyse des grandes oeuvres de la peinture a? la pratique, en classe, dactivite?s de cre?-ation plastique, Jean David?Christiane David 공저),《학교 시각예술교육(Enseigner les arts visuels a? le?cole),《시각예술(Arts visuels) 등이 있다.

 

? 옮긴이 소개 : 김현수(金賢洙)

 

공주사범대학 불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미학?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공주사대?공주대?공주교대?전주대?청주대?충북대에서 불어불문학을, 조선대학교에서 미술비평?미술심리학?미술사회학을 강의했다. 현재, 순천대학교 사학과에서 서양사를 강의하고 있다. 주요역서로는《바슐라르의 思想》(Paul Ginestier, Pense?e de Gaston Bachelard, 1983),《자유냐 평등이냐》(Raymond Aron, Les Essais de la liberte?, 1983),《예술: 무엇을 위한 것인가?》(Michel Ragon, L’Art: pour quoi faire?, 1986),《미술의 읽기》(Jean-Luc Chalumeau, Lecture de l’Art, 1994),《미셸 푸코: 죽음의 빛》(Jeannette Colombel, Michel Foucault: la clarte? de la mort, 1998),《현대미술과 오브제》(Roger Bordier, L’Art moderne et l’objet, 1999),《비평과 진단》(Gilles Deleuze, Critique et clinique, 2000),《문학이론: 입문》(Terry Eagleton,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2nd edition, 2001)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는 “La Description de Gustave Flaubert”(1982), “레이몽 아롱의 자유론”(1990), “바슐라르의 상상력이론”(2001), “마르셀 프루스트의 예술론”(2002) 등이 있다.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