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회와 국제환경

신용하 지음

판매가(적립금) 28,000 (1,400원)
분류 나남신서 94300
판형 신국판
면수 584
발행일 2008-11-10
ISBN 978-89-300-8335-3
수량
총 도서 금액     28,000
 

최근 일본 학계와 정계 일각에서 과거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과 아시아 여러 나라 침략을 정당화하고, 심지어 침략전쟁을 ‘해방전쟁’이라고까지 미화하는 주장들이 대두하더니, 어느새 이러한 주장이 한국과 세계 각국에 전파되어 일정한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였다. … 과거의 아픔과 고통의 기억은 망각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나 망각하면 역사가 아니며, 역사를 망각하면 그 아픔과 고통이 다시 찾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그동안 써놓은 제국주의 열강의 구한국에 대한 정책  관련 논문들 가운데서 10편을 뽑아 엮은 것이다.… 논문의 배열은 첫 머리에 19~20세기 초 열강의 제국주의 침략정책의 국제환경 속에서 자기나라,겨레의 자주독립과 근대시민사회 수립을 위해 분투한 한국민족의 활동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의 논문을 실었다. 끝 논문으로는 1945년 8.15 광복과 함께 한국민족에게 씌워진 아픔과 고통의 원천인 열강의 한반도 남,북분단의 원인과 과정에 대한 저자의 학설 “포츠담 밀약설”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머리말 중에서


 

제1장  서설: 제국주의 국제환경과 한국 근대시민사회 형성 운동                              15

1. 머리말 / 15

2. 양반신분사회의 기본구조 / 16

3. 19세기 중엽의 양반신분사회의 위기 / 19

4. 초기개화파의 양반신분사회관과 시민사회로의 지향 / 22

5. 양반신분사회의 폐지와 시민사회의 여명 / 25

6. 독립협회의 시민사회 수립운동 / 29

7. 애국계몽운동과 시민사회 / 35

8. 맺음말 / 37


제2장  1876년의 개항, 개방체계의 시작과 조․일불평등수호통상조약                           39

1. 문제의 한정 / 39

2. 민비정권의 출현과 대(對)일본정책의 변화 / 40

3. 운양호(雲揚號)사건 / 42

4. 조.일 수호조규의 강요와 체결 / 44

5. ‘조.일 수호조규부록’의 체결 / 48

6. 조.일 통상장정(조.일 무역규칙)의 체결 / 51

7. ‘조.일 수호조규’등의 불평등조약의 특징 / 55

8. 1876년 개항의 사회사적 성격 / 57


제3장  한반도에서의 열강의 이권침탈 외교                                               63

1. 머리말 : 이권(Concession)의 개념과 특징 / 63

2. 제1차 개항의 불평등조약체제와 일본의 이권침탈 / 66

3. 제2차 개항기의 열강의 이권침탈 / 69

1) 청국의 이권침탈  69

2) 일본 전선 이권 침탈과 기타 이권침탈 73

3) 서양열강의 이권침탈  79

4. 아관파천 직후의 열강의 이권침탈 / 81

5. 1900년 이후의 열강의 이권침탈 / 94

6. 맺음말: 열강의 이권침탈의 귀결 / 101


제4장  한국 근대 국제통상무역의 전개과정, 1876~1910                                   105

1. 머리말 / 105

2. 제1차 개항기의 국제무역 / 108

1) 조.일 수호조규(강화도조약) 중의 통상관계 조항의 문제점  108

2) 제1차 개항기의 수입무역 114

3) 제1차 개항기의 수출무역  124

4) 제1차 개항기의 해운  131

3. 제2차 개항기의 대외무역 / 132

1)2차 개항과 국제무역의 개괄  132

2)2차 개항기의 수입무역  137

3)2차 개항기의 수출무역 147

4)2차 개항기의 금.은의 유출  160

5)2차 개항기의 해운  165

6) 각국 상업자본의 무역경쟁 171

4. 제3차 개항기의 국제무역 / 182

1) 3차 개항기의 국제무역 개괄  182

2)3차 개항기의 수입무역  187

3)3차 개항기의 수출무역  200

4) 3차 개항기의 금.은의 유출  212

5. 맺음말 / 218


제5장  대한제국 초기의 동북아시아 정세와 자강운동                                      223

1. 머리말 / 223

2. 19세기 말 동북아시아의 정세 / 224

3. 독립협회의 창립 / 230

4. 독립문, 독립관, 독립공원의 건립 / 237

5. 토론회의 계몽활동 / 241

6. 대한제국의 성립 / 245

7. 제1차 만민공동회와 러시아, 일본의 침략정책 규탄, 배제 / 248

8. 생명, 재산의 자유권 수호운동과 탐관오리의 규탄 / 256

9. 이권침탈 반대운동과 자주국권 수호 / 259

10. 황실호위 외인부대 창설 저지운동 / 264

11. 새 개혁정부의 수립과 관민공동회 / 266

12. 의회설립운동 / 273

13. 독립협회의 자주, 민권, 자강운동의 역사적 의의 / 290


제6장  1905년 을사조약의 불성립과 무효                                               295

1. 머리말 : 문제의 한정 / 295

2. 대한제국의 국제조약체결권자 / 299

3. 일본 제국주의의 ‘을사조약’ 강요와 강박 / 302

4. 광무황제(고종)의 ‘을사조약’ 승인, 비준 거부 / 313

5. 맺음말 : 을사조약의 불성립과 무효 / 318


제7장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대(對)한국 및 동북아시아 수탈경영                              325

1. 머리말 / 325

2.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설립 / 328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경영조직 / 350

4.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투자와 토지약탈 / 377

5.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조선산미증식사업’ / 400

6.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임업투자와 삼림약탈 / 407

7.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이민정책 / 414

8.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고리대부와 금융업 / 421

9.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기타 식민지투자와 수탈 / 437

10. 맺음말 / 444


제8장  일제 식민지정책으로 저지당한 한국 근대화                                        449

1. 일제의 식민지정책의 유형 / 449

2. 일제의 한국민족 소멸, 말살정책 / 452

3. 일제의 사회경제적 수탈정책 / 456

4. 일제의 식민지정책으로 저지당한 한국 근대화 / 457

5. 일제강점기로부터 얻는 교훈 / 463


제9장  일제의 조선토지조사사업의 구조와 토지약탈                                       467

1. 머리말 : 왜곡되어온 토지조사사업 해설 / 467

2. 토지조사사업의 목적 / 471

3. 국유지, 공유지에 대한 조사 / 473

1) 무토(無土)역둔토의 조선총독부 소유지화  475

2)1종 유토(有土)역둔토의 조선총독부 소유지화  476

3)2종 유토(有土)역둔토의 조선총독부 소유지화  478

4) 투탁지(投托地)와 혼탈입지의 조선총독부 소유지화 479

4. 민유지에 대한 토지조사 / 482

5. 예상외의 토지조사 분쟁 / 486

1) 토지조사 분쟁의 내용  486

2) 한국농민의 저항과 일제의 탄압 488

6. 토지조사사업의 결과 / 491

7. 맺음말: 토지약탈 정책의 사업 / 497


제10장  한국 남북분단의 원인과 포츠담 밀약설                                           501

1. 머리말 / 501

2. 한국 남북분단의 군사적 편의주의설과 내인론 / 503

1) 군사적 편의주의설  503

2) 한국민족 내인설 506

3. 열강의 정치적 야합설과 포츠담 밀약설 / 510

1) 신탁통치에 대한 야합 510

2) 군사점령과 군정에 대한 야합  517

3) 한국 ‘분단’ 점령에 대한 야합과 포츠담 밀약설 522

4) 38도선 획정에 대한 야합 528

4. 민족독립운동의 노선 분화와 연합운동 / 534

5. 맺음말 / 552


 

신 용 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 사회학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백범학술원 원장

     한성대학교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