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제5판)

데니스 맥퀘일 지음 양승찬, 이강형 옮김

판매가(적립금) 28,000 (1,400원)
분류 나남신서 1350
판형 크라운
면수 712
발행일 2008-10-06
ISBN 978-89-300-8350-8
수량
총 도서 금액     28,000
 제4판(2000년)과 비교해 이번 제5판(2005년)에서는 특히 인터넷시대의 ‘뉴미디어’가 출현하고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기존의 매스미디어 이론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야기했던 것을 수정·보완하는 데 주력한 것이 두드러진다. 또한 저자 맥퀘일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기존 매스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관심을 두고 각 장의 내용을 전개한다. 새롭게 등장한 이론적 접근에 대한 소개가 추가되었고, 각 장에서의 이슈는 뉴미디어 현상과 연관하여 다루어진 특징이 있다.
 
 

 

제5판 역자서문  5
제5판 저자서문  7
     
제1부 서 론
01 이 책의 소개
1. 우리의 연구대상  23
2. 이 책의 구성  25
3.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다루는 주제와 이슈  28
4. 이 책에서 다루는 범위와 관점의 제약점  31
5. 다양한 유형의 이론  35
6. 커뮤니케이션 과학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  37
7. 대안적 분석 전통: 구조적, 행동적, 문화적 접근  41
 

02 매스미디어의 기원
1. 초기 단계의 미디어에서 매스미디어로의 진화  45
2. 인쇄 미디어: 책과 도서관  47
3. 인쇄 미디어: 신문  50
4. 기타 인쇄 미디어  54
5. 매스미디어로서의 영화  55
6. 방송  57
7. 포노그램  60
8. 커뮤니케이션 혁명: 뉴미디어 대 올드미디어  61
9. 다양한 미디어의 차이점  64
10. 소결  69
 

제2부 이 론
03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모델
1.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초기의 관점  73
2. 대중(mass)이라는 개념  78
3.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  79
4. 대중으로서의 수용자  81
5. 매스미디어 제도  83
6. 대중문화  84
7. 이론과 연구를 위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출현  88
8. 대안적인, 비판적 패러다임  91
9. 커뮤니케이션을 다루는 네 가지 모델  96
10. 소결  103
 

04 미디어이론과 사회이론
1. 미디어, 사회, 그리고 문화: 연계성과 갈등  106
2. 사회 전반에 걸친 과정으로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사회관계와 경험의 매개  109
3. 미디어를 사회와 연결하는 기준 틀  113
4. 미디어이론 형성에서의 주요 사안 I: 권력과 불평등  115
5. 미디어이론 형성에서의 주요 사안 II: 사회통합과 정체성  118
6. 미디어이론 형성에서의 주요 사안 III: 사회변화와 발전  121
7. 미디어이론 형성에서의 주요 사안 IV: 공간과 시간  122
8. 미디어-사회이론 1: 대중사회이론  124
9. 미디어-사회이론 2: 맑스주의  126
10. 미디어-사회이론 3: 기능주의 이론  127
11. 미디어-사회이론 4: 비판적 정치-경제학  131
12. 미디어-사회이론 5: 사회 구성주의  132
13. 미디어-사회이론 6: 커뮤니케이션 기술결정론  134
14. 미디어-사회이론 7: 정보사회  137
15. 소결  141
 
 
 
05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1. 문화주의적 접근  143
2.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144
3. 초기: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비판적 문화이론  147
4. 대중적인 것에 대한 재평가  150
5. 젠더와 매스미디어  154
6. 상업화  158
7.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문화  160
8. 문화계발과 정체성의 매개  163
9. 문화의 글로벌화  164
10. 매스미디어와 포스트모던 문화  165
11. 소결  169
 

06 뉴미디어- 새로운 이론?
1. 뉴미디어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171
2. 뉴미디어의 어떤 점이 새로운가?  173
3. 뉴미디어 이론의 주요 주제  176
4. 미디어 이론의 뉴미디어 현상에의 적용  178
5. 정보 트래픽의 새로운 유형  182
6. 컴퓨터를 매개로 한 공동체의 형성  186
7. 정치참여, 뉴미디어, 그리고 민주주의  189
8. 자유를 위한 테크놀로지?  192
9. 새로운 평형장치인가 아니면 새로운 분열의 원인인가?  196
10. 소결  198
 
 
 
07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규범적 이론
1. 규범적 의무를 논의하는 기반  202
2. 미디어와 공익  203
3. 미디어 사회이론에서의 주요 이슈  206
4. 초기 이론적 접근: 권력의 ‘제4부’로서의 언론  209
5. 언론자유에 관한 1947년 위원회와 사회책임이론  211
6. 전문 직업의식과 미디어 윤리  214
7.《언론의 4이론》과 그 이후  217
8. 대안으로서의 공공서비스 방송  220
9. 매스미디어, 시민사회, 그리고 공공영역  223
10. 공공영역에 관한 불만에 대한 반응  225
11. 대안적 관점  226
12. 규범적 미디어 이론: 네 가지 모델  228
13. 소결  230
제3부 구 조
 

08 미디어 구조와 수행성과
1. 미디어 자유  234
2. 미디어 평등  238
3. 미디어 다양성  239
4. 진실과 정보의 질  242
5. 사회질서와 결속  247
6. 문화적 질서  250
7. 책무(accountability)의 의미  251
8. 두 가지 대안적인 책무 모델  254
9. 책무의 단계와 관계  255
10. 책무의 틀  257
11. 소결  262
 

09 미디어 경제학과 거버넌스
1. 미디어는 ‘다른 비즈니스와 똑같지 않다’  266
2. 미디어 구조의 기본과 분석 수준  269
3. 미디어 구조의 몇 가지 경제적 원칙들  270
4. 소유와 통제  275
5. 경쟁과 집중  278
6. 미디어 경제의 특징들  283
7. 매스미디어 거버넌스  284
8. 매스미디어 규제: 대안적 모델  287
9. 미디어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291
10. 미디어 시스템과 정치 시스템  293
11. 소결  295
 

10 글로벌 매스 커뮤니케이션
1. 기원  298
2. 추진동력: 기술과 자본  299
3. 다국적 미디어 소유권과 통제  301
4. 글로벌 매스미디어의 다양성  303
5. 국제적 미디어 종속  305
6. 문화 제국주의와 그것을 넘어서  307
7. 글로벌화의 재평가  310
8. 미디어 초국가화 과정  312
9. 국제적 뉴스 흐름  316
10. 미디어 문화의 글로벌 교역  318
11. 국가적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  321
12. 글로벌 미디어 거버넌스  324
13. 소결  326
 
 
 
제4부 조 직
11 미디어조직: 압력과 요구
1. 연구방법과 관점  332
2. 주요 이슈들  333
3. 분석수준  334
4. 사회적 힘의 영역에서의 미디어조직  337
5. 사회와의 관계  339
6. 압력과 이익집단과의 관계  348
7. 소유주와 고객 사이의 관계  349
8. 수용자와의 관계  353
9. 내부구조와 역동성의 측면  356
10. 매스 커뮤니케이터의 개인적 특성의 영향  358
11. 역할갈등과 딜레마  364
12. 소결  366
 

12 미디어문화의 생산
1. 미디어조직 행동: 게이트 키핑과 선택  370
2. 뉴스선택에 미치는 영향  373
3. 접근을 둘러싼 미디어와 사회의 투쟁  382
4. 정보원이 뉴스에 미치는 영향  386
5. 미디어조직 행동: 처리과정과 표현  392
6. 미디어 문화의 논리  397
7. 의사결정의 대안적 모델  399
8. 소결  401
 
 
 
제5부 콘텐츠
13 미디어 콘텐츠: 이슈, 개념, 분석방법
1. 왜 미디어 콘텐츠를 연구하는가  406
2. 콘텐츠에 대한 비판적 시각  408
3. 구조주의와 기호학  413
4. 정보로서의 미디어 콘텐츠  418
5. 미디어 수행 관련 담론  423
6. 객관성과 그 측정  425
7. 연구방법의 문제  431
8. 전통적 내용분석  435
9.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비교  437
10. 소결  439
 

14 미디어 장르와 텍스트
1. 장르의 문제  441
2. 뉴스장르  448
3. 뉴스의 구조: 편향과 틀짓기  452
4. 내러티브(Narrative)로서의 뉴스  456
5. 텔레비전 폭력  459
6. 문화적 텍스트와 그 의미  461
7. 소결  471
 

제6부 수용자
15 수용자 이론과 연구전통
1. 수용자개념  475
2. 수용자의 기원  477
3. 대중에서 시장으로  478
4. 수용자에 대한 비판적 관점  480
5. 수용자연구의 목표  481
6. 대안적인 연구전통  483
7. 공적 관심이 되는 수용자 이슈  486
8. 수용자의 유형  488
9. 집단 또는 공중으로서 수용자  490
10. 충족집합체로서의 수용자   491
11. 매체유형에 따른 수용자(매체수용자)  493
12. 채널과 콘텐츠에 의해 정의된 수용자  494
13. 수용자 도달(범위)의 문제  495
14. 능동성과 선별성  498
15. 소결  501
 
 
    
16 수용자 형성과 경험
1. 왜 미디어를 이용하는가의 문제  503
2. 수용자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  505
3. 이용과 충족 접근법  507
4. 수용자 선택에 대한 통합적 모델  513
5. 미디어 이용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517
6. 하위문화와 수용자  519
7. 생활양식  520
8. 젠더화된 수용자  521
9. 사교성 미디어 이용  523
10. 미디어 이용의 규범적 틀  527
11.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의 규범  529
12. 수용자 관점  531
13. 미디어 팬덤  533
14. 수용자 개념의 종언?  535
15. 수용자의 ‘도피’  538
16. 수용자의 미래  539
17. 다시 수용자 개념으로  540
18. 소결  541
 

제7부 효 과
17 미디어 효과의 과정과 모델
1. 미디어 효과의 전제  545
2. 미디어 효과연구와 이론의 역사: 4단계  547
3. 커뮤니케이션 영향력의 유형  556
4. 미디어 효과의 차원과 종류  557
5. 미디어 효과의 과정: 유형 분류  559
6. 개인적 반응과 반작용: 자극-반응 모델  564
7. 효과의 중재 조건  566
8. 정보원-수신자 관계와 효과  568
9. 캠페인  570
10. 소결  574
 
 
 
18 사회-문화적 효과
1. 행동적 효과 모델  576
2. 미디어, 폭력과 범죄  578
3. 아동과 젊은 층에 미치는 미디어 효과  584
4. 집단적 반작용 효과  585
5. 혁신과 발전의 확산  588
6. 지식의 분배  590
7. 사회적 학습이론  592
8. 사회화  593
9. 사회적 통제와 인식의 형성  594
10. 문화계발 효과   596
11. 사회와 문화영역의 장기적 변화  600
12. 오락적 효과  602
13. 소결  603
 

19 뉴스, 여론, 정치 커뮤니케이션
1. 뉴스를 통한 학습  606
2. 뉴스확산  612
3. 틀 짓기 효과  614
4. 의제설정  616
5. 여론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620
6. 정교화-가능성 모델  622
7. 침묵의 나선: 여론 분위기 형성  624
8. 현실의 구성과 의식하지 못하는 편향성  627
9. 위험을 알리는 커뮤니케이션  629
10. 민주주의 과정에서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  630
11. 정치제도와 과정에 미치는 효과  634
12. 특정사건에 대한 미디어 영향력  636
13. 선전과 전쟁  637
14. 인터넷뉴스 효과  640
15. 소결  641
 

제8부 에필로그
20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미래
1. 다양한 관점  646
2. 연속성과 변화에 대한 전망  651
 
 
참고문헌  655
찾아보기  703
지은이 ㅣ 데니스 맥퀘일(Denis McQuail)
데니스 맥퀘일은 암스테르담 대학교 언론하고 명예교수이다.
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교수 및 연구활동을 하면서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연구자로 정평이 나 있다.
Media Performance(1992), Audience Analysis(1997) 이외에도 매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많은 연구논문을 썼다.  

옮긴이 ㅣ 양 승 찬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언론학 박사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옮긴이 ㅣ 이 강 형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박사, 박사후 연구원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현재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