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의 소명과 그 배반 : 정치적 성찰의 길잡이, 베버의 정치적 유언장
근대의 마지막 대가 막스 베버의 정치적 유언장인《직업으로서의 정치》가 새롭게 단장하고 독자를 기다리고 있다. 이 책은 한 손에 들어올만큼 자그마하지만, 정치의 본질과 소명, 그 배반에 대한 현대의 모든 지적 상상력과 논의의 원천으로 간주되는 최고의 고전 중의 하나이다. 해박한 지식과 특유의 섬세하고 깊은 통찰력으로 정치에 대한 필생의 사유를 풀어낸 이 강연을 마친 후 바로 다음 해에 베버는 세상을 떠났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가히 근대 최고 정치사상가의 하나인 베버의 정치적 유언장이라고 할 만하다.
여기서 베버는 그 유명한 지배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를 비롯하여 직업 정치가의 출현, 그 형태와 자질과 윤리를 다룬다. 그러나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역시 정치의 소명과 그 배반에 대한 통렬한 지적이다. 베버는 말한다. “어리석고 비열해 보이는 세상에 좌절하지 않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열정적 소명이 없다면, 그는 정치인이 아니라 그저 먹고살기 위해 혹은 더 잘 먹고살기 위해 정치판을 이용하는 천박한 정치적 기식자나 포식자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베버는 권력행사의 객관적 결과와 그 책임에 대한 감각이 없는 것 역시 치명적인 정치적 죄악이며, 정치적 소명의 배반임을 강조한다.
요컨대 정치적 기식자나 포식자, 또는 정치적 객관성이나 책임감이 결여된 자가 정치권력을 장악할 때 불행한 사태가 발생한다는 것이 그의 정치적 유언장의 내용이다.
요즘 정치가 풀어야 할 과제는 늘어났지만 정치의 능력은 현저히 떨어졌다. 이 위태로운 역설의 시기에 중차대한 정치적 선택의 해가 겹쳐졌다. 정치의 소명과 정치인의 자질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다. 베버의 유언장은 이 정치적 성찰을 이끌어줄 최고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마디. 베버의 글은 그 사유의 섬세함과 복잡성 때문에 번역이 어렵기로 정평이 나있다. 그런데 번역자인 전성우 교수(한양대 정보사회학과)는, 탁월한 베버 연구자답게, 학문적 엄격함과 섬세함은 물론이고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는 평이성까지 살려내어, 전문가와 일반 독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놀라운 사건을 일으켰다. 이 책이 주목받아야할 또 하나의 이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