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시대의 방송편성론

한진만 外 지음

판매가(적립금) 25,000 (1,250원)
분류 나남신서 1139
판형 신국판
면수 440
발행일 2006-04-15
ISBN 89-300-8139-8
수량
총 도서 금액     25,000
원래 프로그램을 배열한다는 의미의 방송편성은 텔레비전 시청에서 시 공간적 제약을 고려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시 공간적 제약이 사라진 디지털시대의 시청자는 원하는 시간과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이러한 디지털시대를 맞아 변화된 편성개념과 편성전략을 고민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수용자의 취향을 고려해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 보급하는 것이야말로 경쟁이 심화되는 다채널시대 방송의 주요한 책무라는 것이 이 책의 골자이다.
머리말 / 9

제1부  편성의 이해
 
제1장  편성의 기초적 이해 심미선/15
1. 다채널시대 편성개념의 변화  15
2. 편성의 정의  20
3. 편성의 기본원칙  23
4. 편성의 기본전략  32
 
제2장  편성의 역사 한진만/55
1. 라디오방송의 편성사  56
2. 텔레비전방송의 편성사  77
 
제3장  방송편성의 결정요인 한진만/101
1. 편성결정에 대한 이해  101
2. 편성과정에 대한 이해  105
3. 방송사의 프로그램 편성과정 사례  108
4. 편성 결정요인에 대한 기존의 논의  111
5. 편성 결정요인  114
 
제4장  편성과 수용자 조사 조성호/127
1. 시청률 조사의 목적  128
2. 시청률 조사방법  130
3. 미래의 시청률 조사방법  155
 
제2부  매체별 편성전략
 
제5장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편성전략 강명현/169
1.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편성전략  170
2. 네트워크 편성의 미래  199
 
제6장  라디오 편성전략 김진웅/205
1. 라디오의 특성과 편성  205
2. 라디오 편성의 기초  210
3. 주요 채널별 편성전략  218
4. 방송환경 변화와 편성  230
 
제7장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편성 김유정/237
1. 케이블TV와 위성방송 편성의 기본적 논의  237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채널구성과 운영  248
3. 채널 내 편성  256
 
제8장  인터넷 방송의 편성전략 김은미/273
1. 인터넷 방송이란  274
2. 매체로서의 인터넷과 콘텐츠  283
3. 인터넷 방송 수용자  289
4. 인터넷 방송의 편성전략  293
5. 인터넷 방송의 전망과 편성  300
 
제9장  모바일 방송의 편성전략 임정수/309
1. 모바일 방송의 등장과 현황  309
2. DMB 수용자 행동의 특성  321
3. 편성전략의 수립  324

제3부  편성규제 및 활용
제10장  편성과 규제 남궁 협/343
1. 편성규제의 의미와 규제근거  345
2. 방송법상의 규제  349
3. 방송심의제도  363

제11장  편성과 마케팅 주영호/377
1. 시청환경 변화와 편성개념의 확장  377
2. 다채널시대의 프로그램 알리기: 방송프로그램 프로모션  380
3. 방송프로그램의 다양한 수익창출: 창구효과  386
 
제12장  편성효과의 사례  심미선/395
1. 기획을 통한 편성효과  396
2. 틈새시장을 겨냥한 편성효과  399
3. 시간대 변경을 통한 편성효과  404
4. 공격적 편성효과  409
5. 인접효과를 고려한 편성효과  413
6. 새로운 시간대 개발을 통한 편성효과  418

찾아보기 425
필자소개 433
강명현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텔레커뮤니케이션학 박사, 방송위원회 연구원 역임. 현재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방송통신전공 조교수.
주요 논저:《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공저),《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공저), “Interactivity in Television: Use and Impacts of an Interactive Programming Guide”, “Digital Cable: Exploring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Adoption”, “방송 프로그램 등급제의 이용결정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로컬리즘과 지역방송: 사회적 로컬리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등.

김유정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 언론학 박사.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연구위원,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위원, 신문발전위원회 위원 역임. 현재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주요 논저:《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디지털 수용자》(공저),《사이버 문화와 여성》(공저),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관한 이용과 충족연구”, “온라인 신문의 의제와 의제속성 설정 연구”, “온라인 신문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등.

김은미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졸업.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박사.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에이씨닐슨마켓팅리서치 연구원 역임. 현재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요 논문: “Market Competition and Cultural Tensions between Hollywood and Korean Film Industry”,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품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공저),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등.

김진웅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독일 자유베를린대학 커뮤니케이션 박사. MBC 문화방송 연구위원 역임. 현재 선문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주요 논문: “Rundfunkfreiheit und Rundfunkpolitik”(방송자유와 방송정책), “독일국가홍보제도에 관한 연구”, “방송자유의 제도적 성격에 관한 연구”, “독일의 방송자유 수용에 관한 연구”, “다원주의와 방송자유 관점에서의 외주정책” 등.
 
남궁협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 석 박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위촉연구원, 한국방송공사 연구위원, 광주전남언론학회장 역임. 현재 동신대학교 언론광고학과 부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편집위원, 한국방송학회 기획이사.
주요 논저:《방송론》(공저),《방송의 세계화와 문화정체성》(공역), “텔레비전 시장구조 변화와 방송사 경쟁행위에 관한 연구” 등.
 
심미선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신문방송학 석 박사. 문화방송 편성국 전문연구위원 역임. 현재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
주요 논저:《한국방송학보》,《방송편성론》(공저),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레퍼토리 연구”, “지상파방송의 편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영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구”(공저), “케이블TV 등장에 따른 지상파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등.

임정수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박사. 오리콤 DSN 편성제작국 프로듀서 역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주요 논저:《디지털시대의 미디어 산업》,《영상미디어산업의 이해》, “인터넷 이용패턴에 관한 연구”, “Audience Concentration in the Media”, “외주제작 의무편성비율제도 개선방안연구”, “매체도입기에 나타난 두려움에 대한 연구” 등.

조성호
뉴욕주립대학 언론학 박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시청률조사 검증위원회 위원, 대구 MBC 시청자위원회 위원장, SBS 시청자 위원, 대구경북언론학회 회장 역임. 현재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요 저서:《시청률과 텔레비전 편성》,《텔레비전 시청률 조사연구》,《텔레비전 방송사의 편성전략 분석》,《디지털시대의 미디어정보사회》,《디지털 영상시대의 지역방송 편성 전략》,《시청률조사검증의 현재와 미래》.

주영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신문방송학 석 박사.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역임. 현재 SBS 연구위원, 천주교 서울대교구 평협 홍보분과 위원, 돈보스코 청소년 영상제 운영위원, 국제 청소년 봉사지원단 이사.
주요 논저:《과학적 방송편성을 위한 이해와 실제》,《디지털 HDTV의 이해: 새로운 영상욕구의 실현》, “프로그램의 전환 가속화 방식이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종합 구성물에 대한 실험처치 사례를 중심으로” 등.

한진만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및 언론학 박사.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인디애나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현재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요 저서:《방송언어의 사용분석》,《한국 텔레비젼 방송연구》,《지역사회와 언론》,《방송제작기술》등.
prev next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