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책<5월 9일>] 우리들의 시간
매체명 : 한국일보   게재일 : 2008-05-09   조회수 : 6970
박경리 / 나남출판
"글을 쓸 때는 살아 있다"
죽음과 맞바꾼 생명의 글

하종오 기자 joha@hk.co.kr

오늘 박경리 선생이 다음 생의 거처가 되기를 평소 원했었다는 고향 경남 통영의 미륵산 기슭에 묻힌다.

‘배추 심고 고추 심고 상추 심고 파 심고/…/ 정붙이고 살았다// 달빛이 스며드는 차가운 밤에는/ 이 세상의 끝의 끝으로 온 것 같이/ 무섭기도 했지만/ 책 하나 원고지, 펜 하나가/ 나를 지탱해주었고/ 사마천을 생각하며 살았다// 그 세월, 옛날의 그 집/…/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고인이 올해 3월 발표한 3편의 유작 시 중 한 편인 ‘옛날의 그 집’이다. 그는 소설을 쓰기 전에 당초 시를 썼다. 2000년까지 쓴 시를 모은 시집 <우리들의 시간> 자서에서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시를 쓴다는 것은 큰 위안이었다. 자정적 과정이기도 했다.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송두리째 빼앗겼던 저 옛날 일제시대, 학교라는 조직 속에서 몰래 시를 쓴다는 것이 유일한 내 자유의 공간이었고 6ㆍ25 고난의 세월 속에서는 나를 지탱하는 버팀목이 되어 주기도 했다. 바라건대 눈 감는 그날까지 내게서 떠나지 않고 시심은 내 생의 버팀목이 되어주기를…”

쓸 때 그는 살아 있었다. ‘글을 쓸 때는 살아 있다/ 바느질할 때 살아 있다/ 풀을 뽑고 씨앗 뿌릴 때/ 살아 있는 것을 느낀다// 서쪽에서/ 빛살이 들어오는 주방/ 혼자 밥을 먹는 적막에서/ 나는 내가 죽어 있는 것을 깨닫는다’(‘꿈2’)

그의 <토지>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위한 대하소설이지만, 한 문장 한 문장을 그렇게 죽음과 맞바꾸며 벼려낸, 대서사시이기도 하다.

<우리들의 시간>에 ‘문필가’라는 시가 실려 있다. ‘붓 끝에/ 악을 녹이는 독이 있어야/ 그게 참여다// 붓 끝에/ 청풍 부르는 소리 있어야/ 그게 참여다// 사랑이 있어야/ 눈물이 있어야/ 생명/ 다독거리는 손길 있어야/ 그래야 그게 참여다’

독하게, 사랑과 눈물과 생명을 다독거리는 손길로, 그는 쓰다 갔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이전글 다시 부는 ‘박경리 열풍’…판매량 최대 15배 늘어
다음글 抗日… 민주화… '참 스승'의 발자취 깊은 울림
prev next